(<-) |
[../2005-02] |
[../2005-04] |
(->) |
2005-03-30
꽤 타당한 의견. 맞는 얘기다. 기생자 입장에서는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길이 오래도록 사는 방법이다. 초반에는 이래저래 전투가 일어나겠지.
2005-03-25
[NCBI]의 trace archive담당자와 계속 E-mail 교환중. 기관대 기관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에서 cc를 사용하는 것이 절묘하다고 느끼다. 업무처리에서 실무는 담당자가 하고, 상관은 진행현황을 파악한다. 더 나아가, 국가대 국가의 커뮤니케이션인데, 좀 조심스럽긴 하다. 어쨌던 나의 엉성한 영어를 제대로 알아봐 주는것이 신기할 뿐.
2005-03-18
Md5Checksum 이 뭐였는가.
이날 아침 10시 58분 31초가 decimal 1 day 라고... 캡쳐라도 받아놔야지.
간발의 차이로 놓치다.
[yong27@bioinfo yong27]$ python >>> import time >>> time.time() 1111111287.1070011 >>> time.localtime(_) (2005, 3, 18, 11, 1, 27, 4, 77, 0) >>>
페더러와 아가시의 고공 [Tennis]시합. http://www.burj-al-arab.com/tennis/
2005-03-17
[Bioinformatics]관련 SoftwareEngineering 자료 정리
NoSmoke에서도 한창 유행했었던 MBTI. 노스모크MBTI 가 저작권문제로 문을 닫은 이 시기에 이글루스에서는 유행하나보다. 엉터리니 유로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포스트도 있고... TheSkepticsDictionary에도 있지만, 엄밀하게 비과학적이다. 이리저리 껴 맞출 수 있으며 (즉, [Falsifiability]가 없고), 이분법에만 의존하고 있다. 대강의 힌트로는 의미가 있을지 모르나, 여기에 의존적인것은 문제가 있다.
NoSmoke:류기정 씨의 SF작품들은 모두 특별한 과학적 통찰에 기반하고 있다. ArtificialIntelligence, [Evolution], [Recursion]등등... 이러한 번뜩임은 과학적 연구능력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? 특히도 기억에 남는 그의 작품들
두번째 TuringTest
- 폰 노이만 기계
- [우리가쏜화살은어떻게되었을까]
보통 [Unix]계열의 컴퓨터에서 특정 작업을 하고 결과파일을 .txt로 만들어서, 일반인에게 보내면, 결과를 제대로 못보는 일이 허다하다. 특히, PairwiseAlignment 결과같은것은 각 글자의 칸이 정확히 맞아야만 하는데, 메모장, 워드패드등에서는 제대로 볼 수 없다. 이에 방법
AcroEdit 를 소개해준다.
- 워드패드로 열고, 폰트를 바탕체로 한다.
2005-03-15
한국창조과학회라는 곳이 있더군. 창조과학이란것을 얘기하는 곳이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활동을 한다는 것이 의외... PhilosophyOfBiology에서 논의된 바 있지만, 창조과학은 그 단어 자체가 모순이다.
DailyEnglishWriting 를 종종 하려고, 오랜만에 갔더니, 1월부로 끝났군.
일단 설계만 되면 반도체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것은 엄청나게 싸다.
- 내답 : The cost of bulk production of semi-conductor is very low when it was designed.
- 정답 : Once designed, a silicon chip is extremely cheap to manufacture in bulk.
어설픈 영작이 드러나는군. 내가쓰는 영어가 대개 이러함. 좀 다양한 표현을 많이 모르는듯싶다.
2005-03-10
[Baduk]과 체스. 어느것이 심오한가?
TV에서 독일 째즈그룹 "살타 첼로"에 대한 이야기를 접했다. 그들의 탄탄한 음악적기본기에 녹아드는 한국의 전통음악들은 마치 새옷을 입은것처럼 근사했다. HybridTheCreativeOntology의 힘이라는 생각도 든다. 달랑 한국음악이 좋은것이야 라고 얘기할 수 없는것이 그들의 음악적기본기가 받혀주었기 때문이라는 생각. 전원이 오케스트라멤버이기도 하면서, 음대에서 강의도 하는 그들이기에 가능했다. 기풍을 넘나드는 기본기가 있었기 때문이지. 나도 사서 들어야지.
2005-03-04
시작과 끝은 서로 통한다. (꽤 예술적인 작품)
click to start 를 누르고, 마우스 클릭상태에서 드레그하면 줌인아웃됨
2005-03-02
[Baduk]에서의 필승전력은 가능한가?
과학이란, 애매모호한 진술을 명확하게 바꾸는것. 지금 내 주변의 애매모호한 모든것들은 과학으로 좀 더 명확해질 수 있다. SeeAlso AboutScience
(<-) |
[../2005-02] |
[../2005-04] |
(->) |